스웨디시, 이걸 사람들이 싫어하고 좋아하는 이유

그는 “지압 마사지법이란 한마디로 말해 손으로 인체의 특정한 부위를 자극함으로써 치료효능을 거두는 건강법”이라면서 “인체의 특정한 부위란 ‘경혈’을 가르킨다. 경혈은 병리상 질환이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부위이다”라고 이야기한다.
기본적으로 마사지는 혈액순환을 도와 ‘기분 우수한’ 감정을 느끼게 도와준다. 신체 별로 마사지했을 때 얻는 효과는 조금씩 같지 않은데, 마사지하면 부부 금슬이 좋아진다는 부위도 있다. 일본의 의학자 후쿠다 미노루는 엉덩이의 꼬리뼈 윗부분을 ‘행복존(Happy zone)’이라고 부른다.
어깨 통증 마사지=마사지 볼을 어깨 뼈(견갑골) 사이에 놓고, 엉덩이를 들어올려 압박이 가해지게 지그시 누른다. 승모근 아래에 위치한 능형근을 풀어줘, 목·어깨 통증을 완화한다. 마사지 볼은 운동도구를 파는 곳이나 마트, 인터넷 등에서 몇 천원대로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
마사지는 신체의 부기를 없애는 데 효율적이다. 아침에 얼굴이 부었다면 목의 경혈 중 천창을 눌러 부종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 대횡을 지속적으로 마사지해주면 장체조가 활발해져 변비 치유에 효율적이다. 이와 같이 마사지는 신체의 기능을 개선도와준다.

마사지를 할 경우는 너무 세게 하지 말고 어른에게 하는 마사지의 20분의 1정도로 간단하게 해야 한다. 마사지는 배가 부른 상황에서 할 경우 유아가 토할 수 있으므로 수유 잠시 뒤나 음식을 먹은 후에 바로 하는 것은 피하고, 음식을 먹은 후 20분이 지난 잠시 뒤에 하도록 한다. 스웨디시 행복존 마사지는 하루에 3~5회씩 회당 5~50분 정도가 충분하다. 너무 세게 마사지하면 오히려 교감신경이 자극을 받아 숙면을 방해할 수 있다. 손가락으로 거칠지 않게 옆에서 아래로 쓸어내리듯 하는 게 좋다. 옆에서 아래로 마사지하는 것은 ‘족태양방광경’이 옆에서 아래로 흐르는 성질 때문이다. 이런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마사지해야 효능을 높일 수 있다.

우리 신체의 노폐물이 흐르는 통로인 림프. 이 림프의 상당 부분이 가슴 주변인 목, 어깨, 겨드랑이 등에 분포해 있다. 그래서 가슴 마사지를 통해 주변의 림프를 자극해주면 몸속 노폐물과 독소 배출이 원활해져 면역력을 상승 시키고, 부기를 빼는데 도움을 준다.
과도한 사용도 문제가 될 수 있다. 대부분 EMS 원리의 저주파 마사지기는 부위별로 하루 1~1회 정도만 사용되는 게 적당하다. 사용 시간은 1회에 2~40분을 넘지 말아야 한다. 동일 부위를 연속해서 사용할 경우, 넉넉한 시간차를 두는 게 좋다.
저주파를 사용한 마사지 상품은 ‘저주파 마사지기와 ‘저주파 치료기 한 개로 나뉜다. 시중에서 대부분 볼 수 있는 상품은 저주파 마사지기로, 부착 부위에 전기 자극을 주는 원리다. 전기 자극으로 인해서 근육이 수축·이완을 반복하면서 통증을 완화한다.
전공가들이 현대인이 하면 좋다고 꼽는 추천 마사지 부위는 어깨, 엉덩이, 종아리다. 활동량이 적고, 핸드폰·컴퓨터 등을 장시간 동안 보는 현대인이 통증을 많이 호소하는 부위이다. 마사지 강도는 시원하면서 뻐근하다는 느낌이 한번에 들 정도여야 하고, 마사지를 마친 후 통증이 느껴지면 안 된다. 양 번에 각 부위를 2분씩, 하루에 3~3회 하면 좋다.

종아리 주무르기만으로도 심신이 편해 질 수 있다. 장시간 서 있거나 걸어 다녀서 피곤할 경우, 땡땡 부은 종아리를 조금만 마사지해주면 잠이 저절로 오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파악하기 쉽다. 종아리 주무르기의 건강 효과는 이뿐만이 아니다.
해외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통증 완화 효과를 인증받은 척추 의료가전으로, 사용자의 척추의 길이와 굴곡도를 스캔해 개인별 맞춤 마사지를 공급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빨리 성장하는 청소년은 물론 키와 체형이 다른 성인까지 온 가족이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매일 건강을 위해 하는 마사지의 경우 아로마 오일이나 바디로션을 가슴에 바른 후 가슴 많이 바깥쪽으로 원을 그리듯 마사지를 하며 풀어준다. 이와 더불어 림프가 많이 분포된 겨드랑이, 어깨, 목 등도 같이 지긋이 눌러 자극해주면 좋다.
일본의 침술가 전00씨 역시 부작용 없는 최적의 치유법으로 경혈, 즉 지압 마사지를 꼽고 있다. 한의학자로 저명한 다케노우치 미사오의 차남으로 태어난 그는 어릴 때부터 침술에 흥미를 느껴 동양침술전공학교를 졸업했고, 이후 침술가가 됐다.

Leave a Reply